Dab.dicon

브랜드, 콘텐츠, 퍼포먼스, CRM 마케터 차이점 본문

카테고리 없음

브랜드, 콘텐츠, 퍼포먼스, CRM 마케터 차이점

DICONY 2024. 4. 17. 00:45

 

 

브랜드 마케터

브랜드 마케터는 브랜드의 가치와 이미지를 구축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들의 최종목표는 자사 브랜드의 매출 향상입니다. 이를 위해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기획하고 실행합니다. 브랜드와 관련된 모든 일을 맡기 때문에 브랜드 매니저라고 불리기도 하고, 사업 전략팀의 업무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들은 트렌드 분석, 시장조사, 브랜드 콘셉트 기획, 인플루언서 협찬, SNS관리, 제품 기획, 광고 기획, 소비자 반응 체크, 이벤트 프로모션 기획, 상세페이지 제작 등 다양한 일들을 합니다. 때문에 트렌드에 대한 민감함이 필요하며, 기획력과 창의력, 브랜드에 대한 이해도, 비즈니스적 마인드 등이 요구됩니다. 또한 다양한 분서와 협업하여 업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커뮤니케이션 역량 또한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최근에는 다양한 채널들을 운영하기 때문에, 이러한 채널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IMC 마케팅 또한 필요가 커져 채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브랜드 마케터는 브랜드에서 운영하는 SNS채널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게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IMC마케터로도 성장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마케터

콘텐츠 마케터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활용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상승과 고객 유치를 목표로 하는 마케터입니다. SNS 소셜미디어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사용시간이 늘면서, 각각의 채널을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이 늘어났습니다. 이들은 인스타, 블로그, 유튜브 등 채널별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며, 콘텐츠 배포 및 관리, 콘텐츠 성과 측정 및 분석 등의 일을 합니다.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스토리텔링 능력, 카피라이팅 능력, 콘텐츠 제작 및 가공능력이 요구됩니다. 콘텐츠를 기획할 때에는 누구에게, 무엇을 , 어떻게 전달할지 목적을 확실하게 하여 기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유행하는 키워드를 모니터링하고 빠르게 캐치하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콘텐츠 마케터는 기업의 규모와 직무에 따라 SNS마케터, 디지털마케터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터

퍼포먼스 마케터는 온라인 환경에서 이뤄지는 고객들의 모든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 목적에 가장 적합한 활동을 찾아낸 뒤 수행하며 효율적인 성과를 만드는 일을 합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목표하는 KPI수치를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광고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로 '광고 최적화' 업무를 많이 하며, 고객의 행동 흐름을 파악하고 분석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를 노출시키는 일을 합니다. 이를 위해 광고 캠페인을 기획하고 실행하며, 광고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합니다. 때문에 클릭 수, 전환율, 매출 등의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와 수치를 보는 눈, 인사이트 도출 역량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성과가 뚜렷이 수치로 노출되는 직무이기 때문에 성과에 대한 압박과 스트레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시간에 큰 성과를 만들어내기 쉽지 않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수치를 해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회의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열정과 끈기가 필요한 직무입니다. 

 

CRM 마케터

CRM마케터는 고객 관계를 관리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CRM은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의 약자로 '고객관계 관리'를 뜻합니다. 이들의 주목적은 고객들과의 관계를 강화하여 자사의 서비스나 제품을 더 많이 사용하고 구매하도록 이끄는 것입니다.  이들은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고객 세분화 및 타겟팅을 수행하며, A/B 테스트 등을 통해 고객 경험을 개선합니다. 신규고객뿐 아니라 기존고객의 재구매를 유도하고 이탈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비즈니스에서 중요해지면서, CRM 마케터의 중요성 또한 함께 커졌습니다. NHN 데이터 리포트에 의하면 신규고객을 유치하는 것보다 기존 고객의 재구매율을 이끌어내는 게 5배 쉽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핵심역량으로는 SQL(사용자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표준건색언어) 활용능력과 데이터분석 역량이 요구됩니다. 대체로 통계학과 출신이 많고, 경영학과, 심리학과 등이 비율이 높습니다. 또한 자사의 서비스에 대한 깊은 이해도가 필요합니다.